본문 바로가기

콩밭 제초제 사용법 BEST 7 총정리 (시기, 종류, 주의사항)

생활정보xyz 2025. 4. 20.

 

콩밭에서 잡초는 수확량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잡초 방제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양분 경쟁, 병해충 증가, 수확 어려움까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콩밭 제초제 사용법을 정확히 알고 적용하면 훨씬 수월한 재배가 가능합니다. 지금부터 콩밭에 적합한 제초제 종류, 사용 시기, 주의사항을 실전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콩밭 제초제 사용법은 파종 후 토양처리형 제초제를 먼저 사용하고, 생육 중에는 경엽처리형 제초제를 단계별로 적용하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참고로 이런 것도 있어요!

콩밭 제초제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1. 토양처리형 제초제 (발아 억제 목적)

제품명 성분 적용잡초 사용시기
라쏘 유제 알라클로르 43.7% 일년생 화본과·광엽잡초 파종 후 3~4일 이내
  • ✅ 약효 지속력: 40일
  • ✅ 대상작물: 콩, 고추, 땅콩, 참깨 등
  • ⚠️ 비가 많이 올 경우 유출 우려 있으므로 기상 확인 필수

2. 경엽처리형 제초제 (생육기 잡초 방제)

제품명 성분 특징 적용잡초
혼합제 페녹사프로프 + 벤타존 광엽+화본과 일년생 잡초 피, 바랭이, 방동사니 등
신싸이드 유제 플루아지포프-피-뷰틸 화본과 잡초 전용 강아지풀, 바랭이 등

👉 작물별·잡초별 제초제 추천받기 👇

📢 추천 정보

언제 어떤 제초제를 써야 하나요?

📌 1단계: 토양처리형 제초제 사용법

  • 시기: 파종 직후 3~5일 이내
  • 용도: 잡초의 발아 자체를 억제
  • 주의사항: 비 올 확률이 높은 날 피해서 살포

📌 2단계: 경엽처리형 제초제 사용법

  • 시기: 잡초가 3~5엽기일 때
  • 효과: 생육 중인 잡초의 뿌리까지 고사
  • 주의: 약액이 콩 잎에 묻으면 약해 가능성

주의할 점은 어떤 게 있나요?

✅ 꼭 피해야 할 상황

  • 약제 살포 후 4시간 이내 비 올 경우 효과 저하
  • 35도 이상 고온일 경우 약해 발생 확률↑
  • 살충제·비료와 혼합 금지 (화학 반응 가능성)
  • 화본과 작물 인근 주의: 벼·옥수수에 약해 가능

💡 방제기구도 중요합니다

약제 살포 전후에는 분무기 등 방제기구를 반드시 세척해야 다음 작물에 악영향이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콩밭 제초제는 몇 번 사용해야 하나요?

보통 토양처리 1회 + 생육기 제초제 1~2회로 충분하지만, 잡초 상태에 따라 추가 살포 가능성도 있습니다.

Q. 잡초가 30cm 이상 자랐다면?

비선택성 제초제를 사용해야 하며, 예초 후 7~10일 뒤 살포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Q. 비가 오기 전날 제초제 뿌려도 될까요?

비 오는 날은 피하세요. 비로 인해 약제가 씻겨나가며 효과가 반감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마무리

콩밭 제초제는 시기별로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면 확실한 잡초 방제가 가능합니다. 파종 직후에는 토양처리 제초제로 발아를 억제하고, 생육기에는 경엽처리 제초제를 통해 생긴 잡초를 제거하는 이중 전략이 핵심입니다. 작물과 주변 작물의 안전을 위해 사용 시 주의사항도 꼭 숙지하세요!

👉 2025 콩밭 전용 제초제 PDF 무료 다운로드 👇

👉 내 밭 상태에 맞는 제초제 1:1 추천 상담받기 👇

댓글